인문학을 관통하는 아젠다를 수행하다
![](../images/sub/icon_intro03.png)
특성화된 과제의 탐구
인문한국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연구소들은 저마다의 특성에 적합한 연구 안젠다를 설정하여 한국 인문학의 영향력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습니다.
인문분야
선정연도 | 대학명 | 연구소명 | 홈페이지 | 연구아젠다명 |
---|---|---|---|---|
2007 | 고려대 | 민족문화연구원 | http://riks.korea.ac.kr | 한국문화의 동역학 |
2007 | 부산대 | 한국민족문화연구소 | http://pncc.kr | 로컬리티의 인문학 |
2007 | 서울대 | 인문학연구원 | http://hk.snu.ac.kr | 문명의 허브를 향하여, 한국인문학의 새로운 구상 |
2007 | 성균관대 | 동아시아학술원 | http://eashk.skku.edu | 소통과 확산 : 동아시아 연구를 통한 한국인문학의 창신 |
2007 | 이화여대 | 이화인문과학원 | http://eih.ewha.ac.kr | 탈경계 인문학의 구축과 확산 |
2007 | 강원대 | 인문과학연구소 | http://www.humantherapy.co.kr | 인문학진흥을 위한 인문치료학 |
2007 | 금강대 | 불교문화연구소 | http://gcbs.geumgang.ac.kr | 불교고전어, 고전문헌의 연구를 통해 본 문화의 형성과 변용 및 수용과정 연구 |
2007 | 부산대 | 인문학연구소/ 점필재연구소 |
http://human.pusan.ac.kr | 고전번역학+비교문화학을 통한 <소통인문학의 창출> : 주변과 중심의 횡단을 위해 |
2007 | 서울시립대 | 도시인문학연구소 | http://ihuos.uos.ac.kr | 글로벌폴리스의 인문적 비전 |
2007 | 성공회대 | 동아시아 연구소 | http://www.ieas21.or.kr | 문화로서의 아시아 : 사상, 제도, 일상으로 아시아 재구성하기 |
2007 | 순천대/경상대 | 지리산권문화연구원/ 경남문화연구원 |
http://jirisanin.org http://www.gnculture.or.kr |
지리산권 문화 연구 |
2007 | 인하대 | 한국학연구소 | http://www.inhakoreanology.kr | 동아시아 상생과 소통의 한국학 |
2007 | 한림대 | 한림과학원 | http://has.hallym.ac.kr | 동아시아 기본개념의 상호소통사업 |
2008 | 서울대 | 규장각한국학연구원 | http//e-kyujanggak.snu.ac.kr/hk/ | 조선의 기록문화와 법고창신(法古創新)의 한국학 |
2008 | 연세대 | 국학연구원 | http://hk-kukhak.yonsei.ac.kr |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 |
2008 | 전남대 | 호남학연구원 | http://www.homun.or.kr | 세계적 소통 코드로서의 한국 감성 체계 정립 |
2008 | 한국해양대 | 국제해양문제연구소 | http://www.ima.ac.kr | 해항도시의 문화교섭학 |
2008 | 한양대 | 비교역사문화연구소 | http://rich.ac |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|
2009 | 건국대 | 인문학연구원 | http://tongil.konkuk.ac.kr | 소통, 치유, 통합의 인문학 – 통일의 인문적 비전과 한국 인문학의 세계화 |
2009 | 목포대 | 도서문화연구원 | http://islands.mokpo.ac.kr | 섬의 인문학 –문명사적 공간인식 패러다임의 전환 |
2009 | 연세대 | 언어정보연구원 | http://ilis.yonsei.ac.kr/~ilishk/ | 복합지식의 창출과 소통을 위한 인문언어학 |
2010 | 연세대 | 인문학연구원 | http://munja.yonsei.ac.kr | 문자人(Homo Literatus) –동서양 문자의 사회문화적 연구 |
2010 | 원광대 | 마음인문학연구소 | http://www.mind.ac.kr | 마음인문학 –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 |
2010 | 서울대 | 통일평화연구원 | http://tongil.snu.ac.kr | 21세기 녹색한반도를 통한 평화인문학 |
2010 | 한국외대 | 언어연구소/ 외국문학연구소 |
http://semiosis.hufs.ac.kr | 세계ㆍ언어ㆍ삶의 세미오시스(Semiosis) |
2011 | 동국대 | 불교문화연구원 | http://abc.dongguk.edu/kbri/ |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: 불교학의 문화학장 담론 |
2012 | 한림대 | 생사학연구소 | http://www.lifendeath.or.kr | 한국적 생사학 정립과 자살예방 지역네트워크 구축 |
해외지역분야
선정연도 | 대학명 | 연구소명 | 홈페이지 | 연구아젠다명 |
---|---|---|---|---|
2007 | 고려대 | 일본연구센터 | http://www.kujc.kr | 일본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|
2007 | 부산외대 | 지중해지역원 | http://www.ims.or.kr | 지중해 지역의 문명간 교류 유형 연구 |
2007 | 한양대 | 아태지역연구센터 | http://www.eurasiahub.org | 유라시아 정체성과 문명공존 : 유라시아학 체계정립과 지역종합정보시스템 구축 |
2008 | 고려대 | 아세아문제연구소 | http://www.asiaticresearch.org | 동북아시아의 초국가적 공간 –사상, 사회문화, 제도의 교류와 재구성 |
2008 | 부산외대 | 중남미지역원 | http://www.lakis.or.kr | 라틴아메리카 연구사업 통합 매트릭스 구축 |
2008 | 서강대 | 동아연구소 | http://www.eastasia.kr | 열린 지역체계로서의 동남아 : 한국 동남아연구의 세계적 소통과 대중적 확산을 위하여 |
2008 | 서울대 | 라틴아메리카연구소 | http://snuilas.snu.ac.kr | 21세기 라틴아메리카와 트랜스모더니티 : 학제간 연구와 지역종합정보구축 |
2008 | 서울대 | 일본연구소 | http://ijs.snu.ac.kr | 현대 일본 생활세계 연구의 세계적 거점 구축 |
2009 | 인천대 | 인문학연구소 | http://hk.incheon.ac.kr | 한국의 중국연구와 연구기반의 재구성 – 근현대 중국의 사회경제 관행조사 및 연구를 통한 세계적 중국화교연구자료센터 구축 |
2009 | 한국외대 | 러시아연구소 | http://www.rus.or.kr | 러시아연방 인문공간의 한국적 재구성 |
2009 | 국민대 | 중국인문사회연구소 | http://circ.kookmin.ac.kr | 중국의 지식ㆍ지식인 : 지형과 네트워크 |
2009 | 부산외대 | 동남아지역원 | http://www.iseas.kr | 총체적 단위로서의 동남아시아의 인식과 구성 문화 : 연구와 지역연구의 복합을 통한 동남아시아학의 구축 |
2010 | 한국외대 | 아프리카연구소 | http://www.afstudy.org | 아프리카, 안과 밖의 교차 : 아프리카학의 한국형 패러다임 구축 |
2010 | 명지대 | 중동문제연구소 | http://www.imea.or.kr | 현대중동의 사회변동과 호모이슬라미쿠스 –샤리아 연구와 중동학 토대 구축– |
2011 | 경희대 | 국제지역연구원 | http://erc.khu.ac.kr | 환동해 지역연구 : 관계망의 원형과 절합 |
2012 | 중앙대 | 외국학연구소 | http://fsc.cau.ac.kr | 21세기 신동북아 Glocal Culturalism : 문화지형도의 재구성과 네트워크 구축 |